문법(언어) 개념
-
[필독] 언어와 매체 게시판 활용법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32
안녕하세요. 국어T입니다. '언어와 매체' 게시판은 수능 언어를 혼자 공부하는 학생, 보조자료가 필요한 학생, 부가해설이 필요한 학생 등 다양한 방면에 있어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게시판입니다. 학습에 있어 참고하실 부분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개념 '개념' 파트에는 아주 기본적인 내용부터 실전적 개념을 아우르는 내용이 실려있습니다. 언어(문법) 공부에 있어 개념은 참으로 중요한 것이기에, 계속해서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처음 이 블로그로 언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쭉 읽어나가며 관련된 내용을 가급적 '예시 위주'로 암기했으면 합니다. 가령 의존명사와 조사를 분류하는 경우, '아는 만큼 들린다'와 '나만큼 마셔봐'라는 사례를 암기하고 있다면 문제 풀이 때 이러한 사례를 비교하며 쓸..
-
[국어의 규범]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20
6강. 국어의 규범 A. 표준어 규정 은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 발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어 사정 원칙'은 방언 어휘 중 하나를 표준어로 선정하는 기준을 밝히는 규정이며,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를 발음할 때의 표준을 정한 규정이다. 1) 표준어 사정 원칙 1. 표준어 특정 국가의 말은 어떤 시기, 지역, 계층의 사람들이 쓰느냐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이렇게 다양한 말을 그대로 방치하면 국가는 혼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중심이 되는 지역의 말을 바탕으로 표준어를 정하게 된다. 결국 '표준어'는 여러 방언 중 공용어로 인정받은 '방언'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규정 '표준어 사정 원칙'은 다음과 같은 규정으로 짜여 있다. 제1장 총론 제1장의 총론에서는 표준어를 다음과 같이 ..
-
[담화]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18
5강. 담화 ※ 공부의 핵심 ※ 1. 주체높임법과 객체높임법을 명확하게 구분한다. 2. 각 개념의 한자를 활용하여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3. 피동문과 사동문을 정확하게 구분한다. A. 담화의 개념 1) 담화란? 1. 담화의 정의 개별적인 '발화'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담화'이다. 여기서 '발화'란 '문장'이 현실 상황에서 쓰인 것이다. 또한 '문장'은 개별 의미를 가진 '의미소(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 정도로 생각해보자)'가 통사적 규칙으로 인해 '형식'과 '의미'의 결합체이다. 즉, '담화(談話)'는 특정 상황에서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화자와 청자가 주고받은 발화의 묶음이다. (언어표현인 ‘문장’이 입 밖으로 나오면 ‘발화’라고 생각하면 쉽다.) 2) 담화의 조건 현실에서..
-
[음운]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16
4강. 음운 ※ 공부의 핵심 ※ 1. 자음체계표와 모음체계표의 내용을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한다. 2. 각 개념의 한자를 활용하여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3. 음운 변동 현상 4종류를 정확히 구분한다. A. 음운의 체계 조직화된 음운의 목록을 ‘음운의 체계’라고 한다. 1) 음운의 개념 1. 음운의 정의 ‘음운’이란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음운’은 다시 소리의 경계를 나눌 수 있는 분절적 음운인 ‘음소’와 소리의 경계를 나눌 수 없는 비분절 음운인 ‘운소’로 나뉜다. ‘음소’에는 ‘자음’과 ‘모음’이 포함되며, ‘운소’에는 ‘장단, 억양’등이 포함된다. 2) 음소 체계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음소’는 발음을 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에 따라 자음과 모..
-
[단어의 형성]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14
3강. 단어의 형성 ※ 공부의 핵심 ※ 1. 형태소의 종류를 정확하게 구분한다. 2. 어근과 접사를 정확하게 구분한다. 3. 합성어와 파생어의 종류를 파악한다. 뜻을 갖춘 언어 단위에는 ‘형태소, 단어, 어절, 구, 절, 문장’ 등이 있다. 3강에서는 이러한 언어 단위 중 문장을 이루는 기본적 단위인 단어와 딘어를 구성하는 요소인 형태소에 대해 알아본다. A. 형태소 1) 형태소의 개념 ‘형태소’는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이다. 여기서의 ‘의미’는 ‘실질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를 모두 말한다. 이 정도의 설명만으로는 실제로 형태소를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예시 문장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자. ㄱ. 형님은 강아지에게 먹이를 주었다. ㄴ. 형, -님, -은, 강아지, -에게, 먹-, -이,..
-
[문장성분]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09
2강. 문장성분 ※ 공부의 핵심 ※ 1. 문장성분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범주화한다. 2. 각 개념의 한자를 활용하여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3. 서술어 자릿수를 구분할 줄 안다. A. 문장성분의 개념과 분류 사전적 의미: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성분, 요소 1) 문장의 조건 ①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음 ②의미적으로 완결된 내용을 갖춤 ③서술어에 종결 어미가 실현되며 문장 부호가 쓰임 2) 문장성분의 개념 문장은 의사소통의 기본적인 단위로 문장이 모여서 하나의 담화(談話)를 구성한다. 하나의 문장은 다양한 성분들이 모여 이루어진다.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쓰일 수 있는 문법적 단위로는 어절, 구, 절 등이 있다. 어절과 문장 사이에 중간 단위의 구성 성분인 구, 절이 위계적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한다..
-
[품사]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05
1강. 품사 ※ 공부의 핵심 ※ 1. 품사의 종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범주화한다. 2. 각 개념의 한자를 활용하여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3. 같은 어휘지만 다른 품사인 경우 [품사의 통용]에 대해 이해한다. A. 품사(品詞) 사전적 의미: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 놓은 것. 한자를 활용한 의미:성질 품/말 사:‘말’의 ‘성질’에 따라 단어의 갈래를 구분 지은 것이다. B. 품사의 종류와 특성 말 (단어) 형태 기능 의미 뜻 불변어 체언 명사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냄 대명사 사람이나 사물, 장소를 직접 가리킴 수사 수를 나타냄 수식언 관형사 체언을 앞에서 수식함 부사 체언을 제외한 나머지를 수식함 관계언 조사 체언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표시함 독립언 감탄사 놀람, 느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