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에서 각주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문학 개념어 2023. 8. 30. 06:02
평가원이 주는 각주에는 문제에 ‘활용하라’는 의미가 어느 정도 내포 되어 있어.
역대 해석 문제에서 가장 어렵게 꼽히는 2011 수능 ‘그 나무’문제의 5번 선지도 각주를 활용해서 풀라고 각주를 줬었어
2020년도에 논란을 크게 일으켰던 월선헌십육경가 역시 ‘활용하라’고 각주를 줬었는데, 이 논란은 '각주' 하나로 정리됐었어. 같이 문제를 보면서 배워보자.
2020.수능
ⓐ강호 어조(魚鳥)애 새 셰 깁퍼시니
옥당금마(玉堂金馬)*의 몽혼(夢魂)*이 섯긔엿다
초당연월(草堂煙月)의 시업시 누워 이셔
촌주강어(村酒江魚)로 장일취(長日醉) 원(願)노라
이 몸이 이러구롬도 역군은(亦君恩)이샷다
- 신계영, 「월선헌십육경가」 -
* 옥당금마: 관직 생활.
* 몽혼: 꿈.
25. ⓐ와 ⓑ를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는 ‘내’가 ‘강호’에서의 은거를 긍정하지만 정치 현실에 미련이 있음을, ⓑ는 ‘공백공’이 정치 현실에 몸담고 있지만 ‘강호’에 은거하려는 지향을 나타낸다.(O)
-> 논란이 있던 문제인데, 평소에 아는 내용이 달랐어도 각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헷갈리지 않았을 문제이기도 해. 옥당금마를 관직생활과 반대되는 말로 해석한 책이 있었어서 당시 학생들이 큰 혼란을 겪었지만, 각주를 활용했다면 전혀 문제되지 않았을 거야.
옥당금마(관직생활->정치현실)의 몽혼(꿈)이 성기었구나. 라는 말을 살펴보면 답을 찾을 수 있어.
참고로 섯긔였다는 말은 섞였다는 말이 아니야. 물론 대다수의 학생들이 섞였다고 해석해서 풀었을 테지만, 큰 문제는 없었을 거야.
2022 예비평가.
(가)
거미 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무 생각 없이 문 밖으로 쓸어 버린다
차디찬 밤이다
어니젠가* 새끼 거미 쓸려 나간 곳에 큰 거미가 왔다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나는 또 큰 거미를 쓸어 문 밖으로 버리며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어데서 좁쌀알만 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작은 새끼 거미가 이번엔 큰 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 미나 분명히 울고 불고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아나 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이 보드러운 종이에 받아 또 문 밖으로 버리며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 백석, 「수라(修羅)」* -
* 어니젠가: 어느 사이엔가.
* 싹기도: 삭기도. 긴장이나 화가 풀려 마음이 가라앉기도.
* 가제: 갓. 방금.
* 수라: 끊임없이 싸움이 일어나 고통이 지속되는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예 제목에 각주를 달아 놨지? 문학은 <보기> -> 제목 -> 작품 순으로 읽는게 해석의 방향에서 더 옳은데, 이 경우에는 ‘수라’라는 제목이 ‘고통이 지속되는 세계’라고 달아놓았어.
2. 공간을 중심으로 (가)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방바닥’은 ‘나’가 거미 새끼를 감지함으로써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깨닫는 공간이다.
② ‘쓸려 나간 곳’은 큰 거미의 출현으로 인해 ‘나’가 심적 고통을 느끼게 되는 공간이다.
③ ‘새끼 있는 데’는 큰 거미가 도달하기를 바라는 지점으로서 ‘나’의 상실감이 해소되는 공간이다.
④ ‘큰 거미 없어진 곳’은 거미에게 도움을 주려는 ‘나’의 행위로 인해 거미들의 고통이 해소되는 공간이다.
⑤ ‘문 밖’은 ‘방바닥’에 대비됨으로써 ‘나’가 거미들의 만남이 실현 된다고 확신하는 공간이다.
-> 제목에 각주가 있음을 활용하면 화자가 고통을 느끼고 있음을 잘 인지하고 작품을 읽었을 것이고, 답이 2번임을 쉽게 골라냈을 것입니다.
각주에서 나온 '고통이 지속되는 세계'가 이어져 '심적 고통을 느끼는 공간'으로 답선지가 지정되고 있어. 각주를 활용하라는 이야기가 이어진 셈이겠지.
1,3,4,5번 선지에는 각주의 내용인 싸움이나 고통에 관한 내용이 전혀 나오지 않았어. 오히려 3,4,5번 선지는 각주 내용의 반대라고 말할 수 도 있을 것 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