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3. 우문현답문학 개념어 2023. 12. 25. 16:19
C.우문현답 수능 국어의 문학 개념어가 가진 오해를 풀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길게 할 얘기는 아니니 말로 풀어보겠다. C-1. 반드시 지문 순서대로 선지가 등장하지는 않는다. ①번 선지가 대구법이고 ②번 선지가 연쇄법이라고 했을 때, 작품에서 대구법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 연쇄법이 나오리라는 법은 없다. 물론 실제로 비슷하게 나온 적이 한 번은 있다. 하지만 정말 그 한 번이 전부다. 아래 예시가 바로 그것이다. 배 방에 누워 있어 내 신세를 생각하니 가뜩이 심란한데 대풍(大風)이 일어나서 태산(泰山) 같은 성난 물결 천지에 자욱하니 -> ② 거대한 자연물에 비유하여 악화된 기상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크나큰 만곡주가 나뭇잎 불리이듯 -> ③ 식물의 연약한 속성을 활용하여 화자의 위태로운 상황을 드..
-
2. 교육청의 틀문학 개념어 2023. 12. 25. 16:18
B.교육청의 틀 [내적 갈등] A에서 평가원 문항 위주로 공부해야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배웠다면, 이제 교육청의 문항이 얼마나 납득하기 힘든지 배워볼 것이다. 아래의 문항을 해결해보자. 참고로, ‘내적 갈등’은 ‘괴로움’과 동치인 표현이다. 고개 마루턱에 방석소나무가 하나 서 있었다. 예까지 오면 거진 다 왔다는 생각에 마음이 홀가분해진다. 이 마루턱에서 보면 야트막한 산 밑에 올망졸망 초가집들이 들어선 마을이 보이고 오른쪽으로 넓은 마당 집이 내 진외가로 아저씨뻘 되는 분의 집이다. 나는 여름 방학이 되어 집에 내려오면 한 번씩은 이 집을 찾는다. 이 집에는 나보다 한 살 아래인, 열세 살 되는 누이뻘 되는 소녀가 있었다. 실상 촌수를 따져 가며 통내외까지 할 절척(切戚)도 아니지만 서로 가깝게 ..
-
1. 평가원의 틀문학 개념어 2023. 12. 25. 16:16
A.평가원의 틀 [과거를 환기하는 표현] 교육청 모의고사와 평가원 모의고사의 근본적인 차이를 짚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 두 시험은 출제진부터 출제 틀까지 전면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교육청 모의고사의 경우 교사, 강사들이 출제한 문제를 공모받아 짜깁기 하는 형식이지만 평가원 모의고사는 매번 ‘평가원만의 틀’을 가지고 대학 교수들이 출제하는 시험이다. 교수들이 갖고 있는 문학 개념어적 틀은 교육청과 그 범위가 확연히 다르다. 수능을 출제하는 교수들의 생각을 따라야지, 기타 모의고사의 틀에 갇혀서는 안 된다. 관련된 자료를 보자. 평가원이 낸 수능 문제이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
-
[필독] 언어와 매체 게시판 활용법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32
안녕하세요. 국어T입니다. '언어와 매체' 게시판은 수능 언어를 혼자 공부하는 학생, 보조자료가 필요한 학생, 부가해설이 필요한 학생 등 다양한 방면에 있어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게시판입니다. 학습에 있어 참고하실 부분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개념 '개념' 파트에는 아주 기본적인 내용부터 실전적 개념을 아우르는 내용이 실려있습니다. 언어(문법) 공부에 있어 개념은 참으로 중요한 것이기에, 계속해서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처음 이 블로그로 언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쭉 읽어나가며 관련된 내용을 가급적 '예시 위주'로 암기했으면 합니다. 가령 의존명사와 조사를 분류하는 경우, '아는 만큼 들린다'와 '나만큼 마셔봐'라는 사례를 암기하고 있다면 문제 풀이 때 이러한 사례를 비교하며 쓸..
-
[국어의 규범]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20
6강. 국어의 규범 A. 표준어 규정 은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 발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어 사정 원칙'은 방언 어휘 중 하나를 표준어로 선정하는 기준을 밝히는 규정이며,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를 발음할 때의 표준을 정한 규정이다. 1) 표준어 사정 원칙 1. 표준어 특정 국가의 말은 어떤 시기, 지역, 계층의 사람들이 쓰느냐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이렇게 다양한 말을 그대로 방치하면 국가는 혼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중심이 되는 지역의 말을 바탕으로 표준어를 정하게 된다. 결국 '표준어'는 여러 방언 중 공용어로 인정받은 '방언'을 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규정 '표준어 사정 원칙'은 다음과 같은 규정으로 짜여 있다. 제1장 총론 제1장의 총론에서는 표준어를 다음과 같이 ..
-
[담화]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18
5강. 담화 ※ 공부의 핵심 ※ 1. 주체높임법과 객체높임법을 명확하게 구분한다. 2. 각 개념의 한자를 활용하여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3. 피동문과 사동문을 정확하게 구분한다. A. 담화의 개념 1) 담화란? 1. 담화의 정의 개별적인 '발화'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담화'이다. 여기서 '발화'란 '문장'이 현실 상황에서 쓰인 것이다. 또한 '문장'은 개별 의미를 가진 '의미소(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 정도로 생각해보자)'가 통사적 규칙으로 인해 '형식'과 '의미'의 결합체이다. 즉, '담화(談話)'는 특정 상황에서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화자와 청자가 주고받은 발화의 묶음이다. (언어표현인 ‘문장’이 입 밖으로 나오면 ‘발화’라고 생각하면 쉽다.) 2) 담화의 조건 현실에서..
-
[음운] 개념 설명문법(언어) 개념 2023. 12. 25. 13:16
4강. 음운 ※ 공부의 핵심 ※ 1. 자음체계표와 모음체계표의 내용을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한다. 2. 각 개념의 한자를 활용하여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3. 음운 변동 현상 4종류를 정확히 구분한다. A. 음운의 체계 조직화된 음운의 목록을 ‘음운의 체계’라고 한다. 1) 음운의 개념 1. 음운의 정의 ‘음운’이란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음운’은 다시 소리의 경계를 나눌 수 있는 분절적 음운인 ‘음소’와 소리의 경계를 나눌 수 없는 비분절 음운인 ‘운소’로 나뉜다. ‘음소’에는 ‘자음’과 ‘모음’이 포함되며, ‘운소’에는 ‘장단, 억양’등이 포함된다. 2) 음소 체계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음소’는 발음을 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에 따라 자음과 모..